행복은 다른 타인에 기반한 상대적 행복과 자기 자신으로 인한 자주적 행복으로 나뉠 수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느끼거나 무언가 간절히 원하는 것을 쟁취하거나 이뤘을 때, 어떤 희망을 원하는 상태에서의 좋은 감정으로 심리적인 상태 및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느끼는 상태, 불안한 감정을 느끼지 않고 안심해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상태는 주관적일 수 있고 객관적으로 규정될 수 있습니다. 행복은 철학적으로 대단히 복잡하고 엄밀하며 금욕적인 삶을 행복으로 보기도 합니다. 다른 편으론 광의로 해석해 사람뿐만 아니라 여러 생물에도 이에 상응하는 상태나 행동, 과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 생물의 행복감에는 만족감의 요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나 인간인 우리의 경우에는 만족감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행복이란 감정에는 기쁨, 안정, 즐거움, 재미, 웃음, 보람, 가치감, 평온감, 의욕, 희망을 그린 그림, 쾌감 등의 여러 요소가 포함됩니다. 이런 각각의 단어들이 의미하는 행복은 각각 미묘하게 다른 느낌입니다. 이들 모두 단어는 일정하게 좋음의 느낌을 나타냅니다. 희망을 기준으로 어떤 한 희망이 실현되면 만족을 얻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희망이 없었더라도 현재의 상태에서 좋음을 느끼면 그 상태를 만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좋음의 느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른 개념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기쁨은 좋음의 느낌이 양적으로 강한 상태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오래 기다리던 소망이 실현될 때 느낌은 단순한 좋음과 달리 강한 만족의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좋음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상태인 즐거움은 우리가 좋아하고 매일 마시는 커피를 출근해서 마시거나 음악을 들으며 마실 때는 기쁨보다는 즐거움을 감정으로 표현합니다. 좋음의 느낌이 시간적으로 오랜 기간 방해받지 않고 유지되는 것에서 느끼는 상태는 평온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살다가 어떤 일이 닥칠지 모르는 상황에서 평온감을 유지하는 것도 행복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저는 생각합니다. 미래에 대해 좋은 상태를 꿈꾸고 그려보며 희망을 일으키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상태를 추상적으로 또는 구체적으로 마음에서 그려보면서 좋은 느낌을 얻는 상태도 행복의 상태에 넣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자신이 좋아하는 상태를 마음에서 그려보는 상황에서도 행복의 좋음이 얻어질 수 있습니다. 행복의 개념을 이루는 내용에는 다양한 요소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자아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상태 중 하나에 속하는 행복은 인간의 궁극적인 삶 목표는 과거, 현재, 미래 모두 행복을 추구해왔습니다. 다른 대상을 바라볼 때 확인 가능한 외형표현 양식에 따라 일정한 행복의 상태가 규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누군가가 행복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상태라 할지라도 그 평가는 어디까지나 관찰자의 주관에 따른 것일 뿐 그 상태를 당사자가 주관적으로 행복한 상태라고 느끼고 있다면 그것은 행복의 한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사는 집이 없어 바깥을 떠도는 사람이 있다고 할 때 그 사람이 누우면 침대요 하늘이 이불이라는 식으로 좋게 받아들이고 있는 경우 그 사람에게 있어서 행복감을 느끼는 주거 공간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대적이며 개개인의 영역인 행복은 이전에 충족시키지 못했던 어던 상태가 충족되었을 경우 그것은 이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행복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러한 욕구의 정체를 모른 채 본인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를 이해하지 못하여 초조감에 싸인 사람이나 욕구 충족을 최우선으로 사고하여 욕구가 한없이 팽창하여 그것을 채우지 못하여 괴로워하는 사람 또한 적지 않습니다.
행복에 관한 명언이나 금언도 나라마다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삶의 의미이요 목적이고, 인간 존재의 궁극적 목표이며 지향점이다'라고 했고 빅토르 위고는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행복은 우리가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다'라고 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없거나 나를 사랑해 줄 사람이 없다는 생각만으로도 무슨 낙으로 살까라는 암담함이 듭니다. '그 어떤 강제에 의해서 우리들은 결코 행복하게 될 수는 없다'라고 콜르리지는 말했고 '우리들은 모두 남의 불해에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행복하다'라는 라로슈 푸꼬의 말도 있습니다. G.W.커디스가 말한 '행복은 무엇보다 건강 속에 있다'라는 말은 정말 공감합니다. 저의 경우 지금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 있지만 저의 소중한 딸이 아픕니다. 경제적인 어려움은 부모로서 저희가 감당해야할 부분이지만 대신 아파해 줄 수도 없는 딸아이의 아픔은 더한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한창 공부에 매진해야 할 상황이지만 건강보다 소중한 것은 없기에 지금은 아픈 것이 빨리 나아서 건강하기만을 바랍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행복이라 불리는 상품은 없다'라는 헨리 벤 다이크의 말, '돈이란 남에게 행복하게 보이는 온갖 것을 준다'라는 H.레니에의 말, '오래가는 행복은 정직한 것 속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라는 리히텐베르히의 말, '의지가 굳은 사람은 행복할지니 너희는 고통을 겪겠지만 그 고통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다'라는 테니슨의 말, 프랑스 작가인 앙드레 모루아가 말한 '행복한 결혼에는 애정 위에 언젠가는 아름다운 우정이 접목되게 마련이다. 이 우정은 마음과 육체가 서로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견고한 것이다'라고 했는데 나이 들어가며 부부관계에 있어서 이제는 설렘보다 익숙한, 친숙한 관계인 부부가 좋아 이는 것은 저 뿐일까요?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는 목적과 방법은 다양할 것입니다. 그 행복을 위해 한 발이라도 다가서려 노력하는 삶을 살도록 합시다.
'라이프(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역사 알아보자 (0) | 2023.09.01 |
---|---|
인생에 관련된 책 소개할게요 (2) | 2023.08.31 |
취미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 2023.08.22 |
운동은 꼭 해야 합니다 (2) | 2023.08.17 |
음식 알고 먹읍시다 (1) | 2023.08.17 |